본문 바로가기
일연은 고려 희종(熙宗) 2년(1206)에 경주의 속현이었던 장산군(章山郡, 현재의 경산[慶山])에서 태어났다. 일연의 속성은 김씨요, 속명은 견명(見明)이다.

9세에 출가하여 해양(海陽, 현재의 광주〔光州〕) 무량사(無量寺)에서 불법을 배우기 시작한 후 14세에 설악산 진전사(陳田寺)의 대웅(大雄) 장로에게서 구족계를 받았다. 그 후 강석과 선림을 편력하면서 수행한 일연은 동료들에게 구산사선(九山四選)의 으뜸으로 평가되었고, 22세에는 승과에 응시하여 선불장에서 상상과에 합격하고 포산(包山, 현풍 비슬산〔玄風 琵瑟山〕) 보당암(寶幢庵)에 주석하면서 선관을 수행 하였다. 그 후 22년간 포산의 여러 사찰에 머무르면서 특정 신앙이나 종파에 얽매이지 않고 여러 계통의 신앙과 사상을 섭렵하였다.

44세에 고종(高宗) 36년(1249)에 일연은 정안(鄭晏)이 설립한 남해 정림사(定林寺)에 초청되어 주법이 된다. 54세 때인 고종 46년(1259)에 일연은 대선사(大禪師)가 되었다. 그리고 2년 뒤인 원종(元宗) 2년(1261)에 왕명에 의해 강화(江華)에 초청되어 선월사(禪月寺)에서 활동하였다. 원종 5년(1264)에 일연은 영일의 운제산 오어사(五魚寺)로 물러나고 얼마 안 있어 다시 포산(包山) 인홍사(仁弘社)로 옮겼다. 충렬왕이 즉위한 1274년에는 그 동안 11년간 지내오던 포산 인홍사를 중수하고 사액을 받아 인흥사(仁興社)로 개명하였으며, 포산 동쪽에 있는 용천사(湧泉寺)를 중수하여 불일사(佛日社)로 삼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다음 해에 일연은 인흥사에서 『역대연표(歷代年表)』를 간행하였다.

72세에 충렬왕 3년(1277)에 왕명에 의해 운문사(雲門寺)에 주석하며 선풍을 드날렸다. 충렬왕 8년에 왕은 일연을 내전에 맞이하여 개경의 광명사(廣明寺)에 주석하도록 하였고, 그 다음 해 78세의 일연을 국존(國尊)으로 책봉하고 ‘원경충조(圓徑沖照)’라는 호를 내렸다. 국사(國師)가 아닌 국존으로 책봉한 것은 원(元)이 그들이 쓰는 국사 칭호를 쓰지 못하도록 간섭하였기 때문이었다. 일연은 이후 인각사(麟角寺)로 물러나 머물면서 2회에 걸쳐 구산문도회(九山門徒會)를 개최하였는데, 이는 가지산문(迦智山門)을 중심으로 불교계의 교권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충렬왕 15년(1289) 봄에 일연은 인각사에서 『인천보감(人川寶鑑)』의 간행을 명하고 7월에 84세로 입적하였다. 왕이 시호를 내려 보각(普覺)이라 하고 탑호(塔號)를 정조(靜照)라 하였다.

연 입적 후 6년이 지난 충렬왕 21년(1295)에 혼구 (混丘, 무극〔無極〕), 곧 청분(淸扮)이 작성한 행장에 의거해서 민지(閔漬)가 짓고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한 「고려국화산조계종인각사가지산하보각국존비명(高麗國華山曹溪宗麟角寺迦智山下普覺國尊碑銘)」이 인각사에 세워졌다. 비의 뒷면에는 진정대선사(眞靜大禪師) 청분(무극)이 세운 경위를 적고 문도와 단월(檀越)들의 이름을 열거한 음기(陰記)가 새겨져 있다. 이 비문에 보이는 일연의 저술로는 『어록(語錄)』2권, 『게송잡저(偈頌雜著)』3권, 『중편조동오위(重編曹洞五位)』2권, 『조파도(祖派圖)』2권, 『제승법수(諸乘法數)』7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3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30권, 『중편조정사원(重編祖庭事苑)』30권 등 100여 권이 있다.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최종수정일 : 2023-07-19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등록하기